동기부여- 성공하는 사람들의 선택 방법

안녕하세요. 성찬입니다.

 

최근에 다양한 자기개발관련 서적을 읽고 있습니다. 'Having', '시크릿'은 교직 생활 시에 읽은 경험이 있었고,

최근에는 '이카루스 이야기', '원씽' 을 읽었습니다. 그외 일부 이런 류의 서적을 몇 권 더 읽었는데, 이러한 책들을 통해 얻은 '선택' 이란 개념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인생에서 선택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런 중요한 선택을 위해서 부자나 성공한 사람들의 선택은 일반인들과 다른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성공을 위한 단 한 가지에 집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우리는 하루에 해야할 많은 일들을 목록으로 만들고, 그 목록에 줄을 긋는 행위에 스스로 큰 성취감을 느낍니다. 하지만, 성공을 위해서는 '할 일 목록' 이 아닌 '성공 목록'을 만들어야 하며, 그 성공 목록에서도 적은 노력으로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성공에 가장 중요한 단 하나의 일'을 정하고 그것을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중요한 일을 완수하기 전에는 다른 일들은 제쳐두는, 즉 '멀티태스킹을 하지 않기'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는 게리 켈러가 지은 '원씽'에서 소개된 방법입니다.

 

우리는 성공을 하기 위해서 다양한 여러가지의 일을 많이 하기보다는, 인생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지 알아보고, 필요한 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단 한가지를 선택하고 그것을 실천하는 것이 바로 그 방법이 되겠습니다. 

 

또한 부자들은 선택에 큰 시간을 들이지 않는다고 합니다. 우리가 무엇을 얻기 위해 필요한 자원 중에 절대 다시 구할 수 없는 것, 한 번 사용하면 다시는 돌이킬 수 없는 것, 그것은 바로 시간입니다.

 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이는 선택을 빨리하면 좋다는 사례를 단순히 비교하기 위한 글입니다.

월 소득 400만원 회사원 A씨 주5일을 근무하고, 주 평균 45시간을 근무합니다. A씨는 이번에 에어프라이어를 구입하려고 합니다. A씨는 다양한 커뮤니티와 후기 등을 통해 몇 가지 제품군을 알아봤습니다. A씨가 찾은 제품을 포털에 검색해보니 최저가가 배송비 포함 172,000원입니다. A씨는 내일 출근해야지만, 해당 제품을 조금이라도 더 저렴하게 구입하기 위해 또 수 시간을 들여서 각종 커뮤니티를 탐색해서가장 저렴한 온라인 판매처를 찾았고, 해당 온라인 스토어에 가입하여 쿠폰까지 발급받아 148,000원에 구입했습니다. A씨는 대략 20여분의 검색을 통해 쓸만한 제품을 찾았습니다. 그리고 최소 4시간 이상을 투자해서 24,000원을 절약했습니다.

그럼 성공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하는지 비교해보겠습니다.

월 수입 400만원의 수익을 버는 디지털 노마드 B씨는 하루에 평균 6시간 정도를 블로그와 유튜브 영상 작업을 하는데 시간을 투자하고, 주 6일 작업합니다.에어프라이어를 구입하려고 합니다. 다른 제품 리뷰를 하면서 봐둔 제품을 인터넷에서 최저가인 172,000원에 결제했습니다. 그리고 바로 자신의 블로그에 글을 작성합니다. 오늘은 4시간을 투자했지만 평소보다 컨디션이 좋지 않아서 2개의 글 밖에 작성하지 못했습니다. 다소 아쉽지만, 내일의 컨디션을 위해서 잠을 청합니다. 다음 날 에어프라이어기가 도착했습니다. B씨는 리뷰를 위한 사진과 영상을 찍고 간단한 음식을 조리하여 상품 리뷰글을 또 작성합니다.

전자의 경우에는 4시간 정도를 투자해서 24,000원을 절약했습니다. 후자의 경우에는 전자에 비해 24,000원을 더 지출했지만, 시간을 투자해 생산적인 일을 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생산적인 일이 사건의 끝이 아닙니다. B씨가 작성한 글은 트래픽을 증가시켰으며, 글을 누적시킴으로서 수익을 위한 유·무형의 가치를 창출시켰습니다. '레버리지'라는 책에서는 "소득 창출 가치 계산법"이라는 것이 나옵니다.

소득 창출 가치 = 주급/1주일 근무 시간

A씨의 경우 소득 창출 가치는 시간 당 23,810원 정도입니다. B씨의 경우 소득 창출 가치는 27,700원 정도입니다.

A씨는 24,000원 정도를 할인 받기 위해 95,240을 손해봤습니다. 여기서 24,000원의 이익을 창출했으니 결론적으로는 71,240원을 손해 봤습니다. 하지만, B씨는 소득 창출 가치를 그대로 실현했습니다. 우리는 이걸 흔히 기회비용이라고 합니다. 부자들은 어짜피 결정해야 하는 선택에 큰 시간과 고민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부자들은 선택에 대한 결과에 대해 걱정하기 보다는, 선택에서 발생하는 그 경험적 사고과정과 경험적 지식과 지혜에 더 큰 가치를 둡니다. 이는 절대 대충대충 살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우리는 성공을 위한 일에 과감하고 빠른 선택을 해야하며, 행동하는 것에 더 집중을 해야한다는 의미입니다.